교육과정안내
비파괴 검사자는 법 제 14조 2항의 규정에 따라 각 호의 교육훈련을 받아야 하며 기본교육은 검사자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 및 비파괴검사 관련 법령 또는 제도에 대한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(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3조 1항의 1)
기본교육 대상자
교육종류 | 교육대상 | 교육시간 |
---|---|---|
기본교육 |
가. 법 제 11조의 규정에 따라 등록한 업체에서 처음 근무하는 자 나. 법 제 11조의 규정에 따라 등록한 업체에서 근무하였다가 휴직 또는 퇴직등으로 검사업무에 종사하지 아니게 된 날부터 3년 이상 경과 후 다시 근무하는 자 |
고용된날부터 6월 이내 24시간 이상 |
기본교육 과정 구성도
오프라인 교육 | 온라인 교육 | ||
---|---|---|---|
6시간 | 서울, 창원에서 진행되는 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합니다. | 18시간 | 협회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(100% 학습완료 및 일부 과목 시험 합격)해야 합니다. |
온라인 교육 과정 안내
통합온라인교육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비파괴검사 종사자 기본교육과정은 총 17개 과정(18시간)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
-
NDT진흥법의 개요 및 소개
소방 관계법의 적용사례
교량/강교(건설부관계법)의 적용사례
산자부 관계법 적용사례
결함의 분류 및 특징
NDT방법에 따른 규격별 판정기준
-
원전설비 등 원자력법의 적용사례
검사자의 소양과 윤리
NDT관련 규격 및 표준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RT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RT(2)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MT
-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UT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UT(2)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PT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LT
NDT검사기술 및 방법소개(기타)
교육훈련 비용
기본교육, 관리교육구분 | 정상금액 | 회원사 할인금액 |
---|---|---|
금액 | 120,000원 | 90,000원 |
전문교육
구분 | 정상금액 | 회원사 할인금액 |
---|---|---|
금액 | 100,000원 | 75,000원 |
비파괴검사자는 법 제 14조 2항의 규정에 따라 각 호의 교육훈련을 받아야 하며 기본교육은 검사자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 및 비파괴검사 관련 법령 또는 제도에 대한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(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3조 1항의 1)
비파괴검사 전문교육 대상자
교육종류 | 교육대상 | 교육시간 |
---|---|---|
전문교육 |
가. 기사자격을 취득한 후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나. 산업기사자격을 취득한 후 8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다. 기능사자격을 취득한 자 라.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회원국가 중 국제표준화기구(ISO)의 비파괴검사관련 규격(ISO 9712)을 채택한 기관으로부터 제2조의 규정에 따른 비파괴검사방법과 같은 종목의 기술자격을 취득한 자 마. 방사선 비파괴검사의 경우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1) 「원자력안전법」 제84조제2항제5호에 따른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면허 또는 동항제7호의 규정에 따른 방사선취급감독자면허를 취득한 자 |
매년 12시간 이상 |
전문교육 과정 구성도
오프라인 교육 | 온라인 교육 | ||
---|---|---|---|
6시간 | 서울, 창원에서 진행되는 전문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합니다. | 6시간 | 협회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(100% 학습완료 및 일부 과목 시험 합격)해야 합니다. |
온라인 교육 과정 안내
통합온라인교육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비파괴검사 종사자 전문교육과정은 총 3개 과정(6시간)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
-
비파괴검사자 책임과 윤리
-
용접구조설계
-
재료파괴 및 결함평가
비파괴검사자는 법 제 14조 2항의 규정에 따라 각 호의 교육훈련을 받아야 하며 기본교육은 검사자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 및 비파괴검사 관련 법령 또는 제도에 대한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(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3조 1항의 1)
비파괴검사 관리교육 대상자
교육종류 | 교육대상 | 교육시간 |
---|---|---|
관리교육 |
가. 기술사 나. 기사자격을 취득한 후 5년이 경과한 자 다. 산업기사자격을 취득한 후 8년이 경과한 자 |
매년 12시간 이상 |
관리교육 과정 구성도
오프라인 교육 | 온라인 교육 | ||
---|---|---|---|
6시간 | 서울, 창원에서 진행되는 관리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합니다. | 6시간 | 협회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(100% 학습완료 및 일부 과목 시험 합격)해야 합니다. |
온라인 교육 과정 안내
통합온라인교육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비파괴검사 종사자 관리교육과정은 총 3개 과정(6시간)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
-
비파괴검사책임자 책임과 윤리 및 검사 신뢰성 향상
-
에너지관련설비에 대한 비파괴검사 법규 및 기술기준
-
스테인리스강의 특성
국제표준 비파괴검사 기술자 자격(KPCN) 이란?
국제표준 비파괴검사기술자 자격(Korean Personnel Certification in : KPCN, 이하 ‘KPCN)인증 기준은 국제표준인 ISO 9712(비파괴검사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)를 만족하는 비파괴검사기술자의 자격인증을 위한 요건을 기술하며 ISO/IEC 17024(적합성평가-자격인증기관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)의 요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

인증시험 응시 프로세스

인증시험 응시 자격요건
시력요건 |
근거리 시력은 Jaeger 1번 또는 Times Roman 4.5포인트 또는 동등한 문자(1.6mm 높이)를 30Cm 이상에서 교정 또는 나안에 관계없이 외안 또는 양안으로 읽을 수 있어야 함 색각일 경우 응시자가 고용주가 명시한 NDT방법과 관련한 색깔 및 회색 음영의 대비를 구분하기에 충분함을 증명 |
---|---|
교육훈련요건 |
시험 응시전 반드시 ISO/TR 25107(비파괴검사-교육필수항목을 위한 지침) 또는 IAEA-TECDOC-628에 따라 교육을 제공하는KPCN 지정훈련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해야 함 |
경력(경험)요건 |
자격인증을 위한 최소 경력 기간 확인 ∗ Level Ⅱ로 바로 자격을 부여 받으려면 Level Ⅰ, Ⅱ를 합산한 경력이 요구되며, Level Ⅲ으로 바로 부여되는 경우에는 레벨 Ⅱ, Ⅲ을 합산한 경력 요구 |

KPCN 인증체계

KPCN 교육훈련
시험응시 자격을 갖추기 위해 시험응시 전에 반드시 ISO/TR 25107(2006, 비파괴검사-교육필수항목을 위한 지침) 또는 IAEA-TECDOC-628에 따른 교육을 제공하는 KPCN 인증센터(CB)로부터 지정된 교육훈련기관(한국비파괴검사협회)에서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. 이론과 실기를 포함하는 교육에 요구되는 최소 시간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.
NDT 방법 | MT | PT | RT | RI | UT | VT | ET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Level 1 in hours | 16 | 16 | 40 | - | 40 | 16 | 40 |
Level 2 in hours | 24 | 24 | 80 | 56 | 80 | 24 | 48 |
Level 3 in hours | 32 | 24 | 40 | - | 40 | 24 | 48 |
※ RT의 경우 방사선안전 교육훈련의 시간은 포함되지 않음
※ 레벨 1이 없이 레벨 2에 직접 응시하는 경우에는 레벨 1과 2의 합한 시간을 이수해야 하며, 레벨 3에 바로 응시하는 경우에는 레벨 1, 2, 3를 합한 시간의 이수 요구
※ 응시자가 대학, 산업대학, 전문대학, 기술대학의 이공계 전공으로 졸업했거나, 최소 2년을 수료하고 경력요건 만족하면 요구되는 교육훈련의 50%를 감면
한국비파괴검사협회는 KPCN 응시자격을 위한 IAEA-TECDOC-628에 따른 교육과정을 온라인통합교육시스템을 통해 제공합니다.